비산동의 경우 관악(성원)을 제외하고는 모든 단지가 3종 일반주거지역입니다. 다만, 전체적으로 높은 용적률과 낮은 평균 대지지분으로 인해 재건축에는 불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역세권 개발을 노리기에도 다소 단지들의 위치가 애매한 편이니 유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비산동 단지별 평균 대지지분 순위
1. 관악 (부영) - 13.9평
2. 은하수 1단지 (청구) - 13.9평
3. 은하수 2단지 (벽산) -13.8평
4. 관악 (동성, 현대, 청구) - 13.8평
5. 은하수 3단지 (신성) - 13.5평
6. 샛별마을 2단지 (한양) - 10.8평
7. 샛별마을 3단지 (한양) - 9.9평
8. 관악 (성원) - 8.7평
9. 샛별마을 1단지 (한양) - 8.6평
10. 은하수, 샛별 5,6단지 (한양) - 7.6평
비산동 단지별 평균 대지지분 및 기본 정보
1. 관악 (부영)
준공연도 : 1993
세대수 : 787
용적률 : 212%
평균 대지지분 : 13.9평
용도지역 : 제3종 일반주거지역
2. 은하수 1단지 (청구)
준공연도 : 1992
세대수 : 502
용적률 : 208%
평균 대지지분 : 13.9평
용도지역 : 제3종 일반주거지역
3. 은하수 2단지 (벽산)
준공연도 : 1992
세대수 : 620
용적률 : 216%
평균 대지지분 : 13.8평
용도지역 : 제3종 일반주거지역
4. 관악 (동성, 현대, 청구)
준공연도 : 1992
세대수 : 1,799
용적률 : 209%
평균 대지지분 : 13.8평
용도지역 : 제3종 일반주거지역
5. 은하수 3단지 (신성)
준공연도 : 1992
세대수 : 507
용적률 : 207%
평균 대지지분 : 13.5평
용도지역 : 제3종 일반주거지역
6. 샛별마을 2단지 (한양)
준공연도 : 1993
세대수 : 844
용적률 : 208%
평균 대지지분 : 10.8평
용도지역 : 제3종 일반주거지역
7. 샛별마을 3단지 (한양)
준공연도 : 1993
세대수 : 638
용적률 : 208%
평균 대지지분 : 9.9평
용도지역 : 제3종 일반주거지역
8. 관악 (성원)
준공연도 : 1992
세대수 : 790
용적률 : 207%
평균 대지지분 : 8.7평
용도지역 : 제2종 일반주거지역
9. 샛별마을 1단지 (한양)
준공연도 : 1993
세대수 : 1,262
용적률 : 204%
평균 대지지분 : 8.6평
용도지역 : 제3종 일반주거지역
10. 은하수, 샛별 5,6단지 (한양)
준공연도 : 1993
세대수 : 3,227
용적률 : 167%
평균 대지지분 : 7.6평
용도지역 : 제3종 일반주거지역
평촌신도시 재건축에 필요한 평균 대지지분 (관양동)
관양동은 크게 한가람 및 공작아파트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은 중소형 위주의 단지로 평균 대지지분이 낮은 편에 속합니다. 반면, 용적률은 200% 내외 수준으로 재건축에는 다소 불리한
budongsanda.tistory.com
지역별 아파트 공급 물량 통계 (2022년 4월 기준)
지역별 아파트 공급 물량 통계 (2022년 4월 기준)
전국 지역별 아파트 공급 물량 통계입니다. 호갱노노에 기반한 숫자이며, 일부는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오피스텔 소형 물량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수치는 지속적으로
budongsanda.tistory.com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촌신도시 재건축에 필요한 평균 대지지분 (평촌동) (0) | 2022.04.12 |
---|---|
평촌신도시 재건축에 필요한 평균 대지지분 (호계동) (0) | 2022.04.11 |
지역별 아파트 공급 물량 통계 (2022년 4월 기준) (0) | 2022.04.06 |
평촌신도시 재건축에 필요한 평균 대지지분 (관양동) (0) | 2022.04.05 |
일산신도시 재건축을 위한 평균 대지지분 (일산동 후곡마을) (0) | 2022.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