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원회를 통해 '임대차 3 법 축소'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시장 정상화를 위해 꼭 필요한 절차라 생각되지만 쉽게 이루어지기는 힘들다는 판단입니다. 왜냐하면 엄연히 법령으로 제정된 사항이며, 여소야대의 상황에서 법령을 다시 바꾸기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임대차 3 법 축소의 가능성
주택임대차 보호법 (전월세 상한제 관련)
※ 제7조(차임 등의 증감 청구권)
제1항에 따른 증액 청구는 약정한 차임이나 보증금의 20분의 1의 금액을 초과하지 못한다.
→ '증액 5% 상한'
주택임대차 보호법 (계약갱신권 청구권 관련)
※ 제6조 3조(계약갱신 요구 등)
임차인은 제1항에 따른 계약갱신요구권을 1회에 한하여 행사할 수 있다. 이 경우 갱신되는 임대차의 존속기간은 2년으로 본다.
→ '2+2 계약갱신'
위와 같이 법령을 통해 제정된 사항이기에 2024년 이전(22대 총선 전)에 해당 법을 바꾸는 것은 무리라는 판단입니다.
다만, 시행령의 일부 개정을 통해 규제 완화를 기대해볼 수 있으나 위와 같이 핵심 사항이 법령에 제정되어 있는 한 본질을 쉽게 바꾸지는 못할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방향성은 분명 임대차법 축소를 향해 달려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이 현실화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정권 교체로 인해 규제 완화와 관련된 소식을 쉽게 접할 수 있지만, 그것의 현실화 가능성과 시점을 판단해보는 것은 투자자로서 반드시 필요한 덕목일 것입니다.
1기 신도시 특별법(안)이 말해주는 역세권 용적률 500%
1기 신도시 특별법(안)이 말해주는 역세권 용적률 500%
1기 신도시 재생 관련 발의안을 보게 되면 용적률 완화에 대한 부분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특히, 민주당 법안에는 역세권에 특별하게 높은 용적률을 부여한다는 문구가 있습니다. 법안의 내용을
budongsanda.tistory.com
재건축 용적률 500%와 분당 역세권 아파트 정리
역세권에 특별하게 높은 용적률을 부여하겠다는 노후 신도시 재생 법안에 따라 분당의 역세권 단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법안이 통과된 것도 아니고 역세권의 구체적인 범위가 설정
budongsanda.tistory.com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산신도시 재건축을 위한 평균 대지지분 (장항동) (0) | 2022.03.30 |
---|---|
일산신도시 재건축과 평균 대지지분 (정발산동) (0) | 2022.03.29 |
일산신도시 재건축과 단지별 평균 대지지분 (마두동) (0) | 2022.03.28 |
일산 신도시 재건축에 필요한 단지별 평균 대지지분 (백석동) (0) | 2022.03.28 |
재건축 용적률 500%와 분당 역세권 아파트 정리 (2) | 2022.03.26 |
댓글